티스토리 뷰

300x250

일본여행을 가는 사람이 많은 이 시기 주의해야 할 소식인데요. 최근 일본에서 치사율이 30%에 달하는 감염병이 급속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일본 전염병의 정체는 연쇄구균 독성쇼크증후군, STSS입니다.

 

일본-전염병

 

일본 전염병 STSS

 

연쇄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는 증상이 없거나 감기 같은 증상 때문에 가볍게 여기고 넘겼다가 급속도로 악화되어 다양한 합병증을 불러와 생을 마감할 수도 있는 전염병입니다. 최근 일본에서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치사율이 30%나 되는 전염병인만큼 일본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라면 특히 주의해야 할 사안입니다. 일본의 엔화 환율이 낮아지면서 일본여행도 많아지는 추세라 더욱 한국에서의 발생도 우려되는데요.

 

코로나 때의 공포가 다시 떠오르는 느낌이네요. 확산 초기인 이 시점에 코로나 시대 때의 감염 예방 방법을 준수해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병이니만큼 더욱 큰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일본 전염병 STSS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 증상, 예방 방법과 전염원인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STSS 증상

 

STSS, 연쇄구군 독성쇼크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인후통입니다. 감기와 비슷한 느낌으로 목의 아픔이 느껴지지만 대부분은 증상이 없습니다. 증상이 없거나 가볍게 느껴지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하기 쉽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고열, 안구의 충혈, 설사, 근육통 몸살 등의 감기몸살과 비슷한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특히 30대 이상의 경우 특히 병을 방치해 심각하게 악화되는 경우 드물게 폐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폐렴, 뇌수막염 등의 병이나 장기부전, 조직괴사로까지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고령의 경우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30세 이상, 50대 미만의 나잇대의 전염 환자 중 3분의 1이 사망했다고 하는 만큼 나이가 적다고 무시할만한 사안이 아니라고 보입니다.

 

일본 여행을 다녀온 이후 해당 증상들이 느껴진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아직 발병이 확인되지 않은 병이니만큼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 참고하시고 주의하세요.

 

전염 원인

  • 사람 비말 감염
  • 신체 접촉
  • 손발의 상처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

STSS는 사람의 비말, 신체 접촉, 손발의 상처 등을 통해 전염된다고 합니다. 특히 상처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걸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상처가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예방방법

 

다행히도 STSS는 사람 간의 접촉으로 전염되는 건 확률이 낮은 편이라고 합니다. 대신 손발의 상처를 통한 전염의 위험이 있는 편이라고 하니 특히 주의해야겠죠.

 

혹시 모를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손발 씻기, 마스크 쓰기 등의 감염 예방을 철저히 하고 손, 발등에 난 상처를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필요합니다. 특히 일본여행을 간 경우에는 더욱 주의해 예방하도록 합시다.

 

이상 일본 전염병 STSS 증상, 예방 방법, 전염 원인을 알아봤습니다. 연쇄구균 독성쇼크증후군 모두 주의해서 한국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728x90
728x90
300x250
최근에 올라온 글